
(서울=뉴스1) 한송아 기자 최서윤 동물문화전문기자 = 가축전염병 대응의 최일선에 선 수의직 공무원의 인력난과 열악한 근무 환경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도마 위에 올랐다.
28일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어기구) 종합감사에서 이병진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평택을)이 수의직 공무원의 인력 감축과 열악한 처우 문제를 지적하며 농림축산식품부에 근본적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최근 5년간 구제역, 돼지열병(ASF),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전염병으로 인해 정부가 막대한 보상금을 지출하고 있다"며 "올해 8월 기준으로만 565억 원이 집행됐고, 이미 지난해 총액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어 "보상금은 늘어나는데 정작 현장에서 방역의 최일선에 있는 수의직 공무원 수는 줄고 있다"며 "지금의 인력 구조로는 반복되는 악순환을 막을 수 없다. 실질적인 처우 개선과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수의직 공무원의 처우 개선과 업무 경감을 위해 민간과의 협업 확대, 업무 효율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라면서 "보다 구체적인 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 중이며 내년 1분기 내로 개선안을 마련해 국회에 보고하겠다"고 답했다.
또한 이 의원은 "전염병 확산의 근본적 차단을 위해 백신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아직도 일부 질병의 백신이 없어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 장관은 이에 "저병원성 AI는 백신이 존재하지만 무증상 감염으로 변이 발생 위험이 있어 사용하지 않고 있다"면서 "항원은 백신 은행에 보관 중이며 필요시 즉각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병원성 AI 백신은 아직 없고, 구제역과 럼피스킨병의 경우는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ASF(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은 현재 개발 단계로, 국내는 위험 요인이 많아 해외에서 현장 실험이 필요하다"며 "상용화가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가축전염병은 백신과 방역 인력이 함께 맞물려야 한다"며 "수의직 공무원 처우 개선과 백신 확보 모두 국가 차원의 중장기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전했다.
출처: 뉴스1 한송아, 최서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