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 식량농업기구(FAO)가 항생제 내성문제 개선을 위한 원헬스 접근법에 공공-민간 분야의 협력을 강조했다.
FAO 한국협력연락사무소는 9월 15일(월) 서울 글로벌센터에서 원헬스 관련 민간 부문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초청 행사를 개최했다. 워크숍 성격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축산 관련 기업과 동물용의약품 제조사, 학계, 대한수의사회와 한국동물약품협회 등 동물용 항생제 사용과 연관된 민간 분야 종사자들이 참여했다.
FAO에서 항생제 내성 관련 민간 분야 식품안전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Milo Bystricky는 이날 워크숍을 주재하면서 “민간 분야(private sector)는 항생제 내성 대응의 강력한 변화를 이끌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민간 분야의 혁신과 자원, 광범위한 영향력을 항생제 내성 위기 해결에 활용하기 위해 공공-민간 분야의 협력(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방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항생제 내성 문제가 이미 심각한데다 앞으로 더 악화될 우려가 크다는 점을 지목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 항생제내성연구팀 장수진 박사는 “항생제 내성으로 인한 직접적인 사망은 2019년 전세계적으로 연간 127만명으로, 간접적 영향까지 합하면 622만명에 달한다”면서 “2020년 1월부터 2021년 9월까지 극심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발생한 사망자가 651만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AMR(항생제 내성)을 ‘조용한 팬데믹’으로 부를 만하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항생제 사용량은 방대하다. 2018년 기준 전세계적으로 사람에게 400억 DDD(Defined Daily Dose)의 항생제가 사용됐다. 당시 세계 인구가 76억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갓난아기까지 포함한 전세계 모든 사람이 빠짐없이 5일치의 항생제를 사용한 셈이다. 농업과 축산 분야에서는 연간 10만톤의 항생제가 식량 생산을 위해 사용된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FAO, UN환경계획(UNEP)이 항생제 내성 대응을 위한 4자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이 저마다 항생제 내성 대응을 위한 국가 계획을 수년 주기로 수립·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결국 항생제 오남용을 줄이는 것, 내성 문제가 심각한 항생제 대신 사용할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하는 것 모두 민간에서 실현되는 지가 관건이다. 일방적인 법제·규제만으로는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없다. 이날 워크숍에서 FAO가 PPP를 강조한 것도 이 때문이다.
국내 축산업계에서도 이 같은 문제는 자명하다. 동물용 항생제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수의사처방제가 도입됐고, 항생제 전(全) 성분을 처방대상으로 지정했지만 축산 항생제 사용량은 줄지 않았다. 여전히 현장에서는 농장이 알아서 항생제를 주문·사용하는 양태가 일반적이다.
Milo Bystricky는 태국, 인도네시아 등의 축산업계에서 항생제 오남용과 내성을 줄이기 위해 시도한 모범사례를 소개하면서 한국의 민간 분야에서도 아이디어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워크숍 참가자들이 벌인 조별 토론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농업 분야의 항생제 관리체계에 허점이 먼저 지적됐다. 축산 생산에 사용되는 동물용 항생제 모두 수의사 처방대상으로 지정됐지만 약사예외조항으로 인해 법적인 구멍이 남아 있고, 농산물 분야에서도 과수화상병 예방 목적으로 스트렙토마이신 등을 사용하는데 구입·사용에 별다른 관리체계가 없다는 것이다.
‘무항생제 축산물보다 저렴한 일반 축산물에 더 손이 가기 마련’이라며 항생제를 줄이는데 들어간 비용을 소비자에게만 전가하지 않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도 제시됐다.
출처 : 데일리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