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날 경기 여주시 소재 반려동물 테마공간 반려마루에서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주재로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성장모델 구축'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농식품부는 간담회에서 동물복지, 가축방역 및 환경친화적 농축산업 분야의 2025년 업무계획을 동물보호·농업인·축산 단체 및 대한수의사회·한국펫사료협회 등 관계자에게 설명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했다.
정부는 올해 '제3차 동물복지 종합계획' 및 '제1차 동물의료 육성·발전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이를 계기로 동물학대 예방, 동물보호 인프라 확충, 반려문화 확산 및 연관산업에 이르기까지 적극적 복지체계를 조성하기로 했다. 조기 전·폐업 인센티브와 이행 점검·단속 병행을 통해 개식용 종식도 이행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동물등록 의무 대상을 동물생산업장의 부모견까지 확대해 자견 정보와 연동·전산화하기로 했다. 무허가 생산·판매업자의 경매 참여에 따른 불법 동물 유통과 사기 분양 피해를 예방하고 모견의 출산 휴식기를 보장해 동물복지를 강화하기 위해서다.
특히 반려동물도 사람과 같이 특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수의전문의 제도를 신설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12월 반려동물 표준 의료체계 권장안 도입 공청회를 개최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바 있다.
반려동물 표준 의료체계에 대한 연구는 서강문 서울대학교 교수를 필두로 서경원·김완희·최지혜 교수가 책임연구원을 맡아 진행했다.
수의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는 수의사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의 제도가 없다.
석·박사 학위 취득자가 아닌데도 전문병원으로 개원하는 경우도 많아 공정한 광고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때문에 공식적인 전문의 과정과 철저한 관리제도 도입이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동물병원 명칭도 동물의료센터, 동물메디컬센터, 동물의료원 등 제각각이라 반려동물 보호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농식품부는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전문적으로 하는 반려동물 상급병원을 도입하는 등 동물의료 체계도 정비해 나가기로 했다.
이밖에 민·관 협업 기반으로 선제적 가축방역시스템 강화, 환경친화적 농축산업 기반 확대 등도 진행할 방침이다.
송미령 장관은 "동물복지, 축산, 방역, 환경 분야는 긴밀한 협조가 중요한 분야인 만큼 간담회를 통해 각 분야가 서로를 이해하고 적극 협업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정부도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성장모델을 구축할 수 있도록 현장소통을 통해 국민의 눈높이에서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해피펫]
출처 : 최서윤기자, news1-100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