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생질병정보

초록 &

초록 &

사이트맵 닫기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초록] 한국 ASF 바이러스 감염 경로에 따른 돼지의 질병 경과

    • 날짜
      2025-05-13 14:54:13
    • 조회수
      119

    [초록] 한국 ASF 바이러스 감염 경로에 따른 돼지의 질병 경과

    가장 흔한 감염 경로인 직접 접촉 그룹 돼지의 경우 7일 잠복기 후 ASF 증상...질병 경과는 비강 또는 구강 감염 그룹과 동일


    ASF는 돼지에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전염병이다. 본 연구는 최초의 한국 'ASF 바이러스(ASFV)' 분리주(Korea/Pig/Paju1/2019)를 사용하여 4가지 경로(근육, 구강, 비강, 접촉)를 통해 접종한 돼지에서 각각의 질병 경과를 비교했다.

     

    비장과 림프절의 육안 병변 비교@논문 중
    ▲ 비장과 림프절의 육안 병변 비교@논문 중

     

    바이러스 공격 실험에서 근육 접종(IM) 그룹 돼지에게는 '103 HAD50' 1ml을 주사로, '구강 내(IO)' 및 '비강 내(IN)' 그룹 돼지에게는 각각 '106 HAD50' 1ml를 입 또는 콧구멍을 통해 투여하였다. '직접 접촉(DC)' 그룹의 경우 비감염 돼지와 IM 그룹 돼지를 돈방에 함께 수용했다.

     

    연구 결과 IO, IN 및 IM 접종 돼지는 유사한 질병 경과를 보였지만 DC 돼지는 7일 잠복기 후에 비슷한 ASF 증상을 보였다. 가장 흔한 감염 경로 중 하나인 DC 경로의 질병 경과는 IO 및 IN 경로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IM 및 DC 그룹은 발열 및 림프절과 비장의 출혈성 병변의 중증도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초기 백신 개발 시험에 적합한 IM 경로가 감염 초기 단계를 포함한 ASFV 감염 기전을 연구하는 데 적합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또한, 지정된 용량의 IO 및 IN 접종은 ASFV 병원성 평가 및 백신 효능 연구를 위한 시험에서 대안이 될 수 있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Disease Course of Korean African Swine Fever Virus in Domestic Pigs Exposed Intraorally, Intranasally, Intramuscularly, and by Direct Contact with Infected Pigs, 조기현(농림축산검역본부) 외, Viruses, 2024]

     

    번역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